가. 용흥궁
당산나무 옆에 방 한 칸 부엌 한 칸의 초가이던 것을 철종이 왕위에 오른 후 강화유수 정기세가 새로 짓고
용흥궁이라 이름 붙였다.
소박한 살림집 느낌이 도는 용흥궁은 전통다도 예절교육관으로 사용되는 듯하다.
마치 창덕궁 맞은편의 고종의 잠저요 흥선대원군의 사저인 운현궁이
예절 교육, 문화 교육, 각종 전통문화 행사 등으로
시민에게 열려 있는 것과 흡사하며, 매우 고무적이다.
나. 성공회 강화성당
강화성당은 고요한 (Charies Jone Corfe) 초대주교가 1900년에 축성한 건물로 성베드로와 바우로 성당으로 명명되었다. 당시 건축공사는 궁궐 도편수가 주도하였고 이후 몇차례 보수가 있었으나 처음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성당터는 세상을 구원하는 방주로서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배의 형상을 따랐다.
성당 건물은 장방형(넓이 4칸, 길이 10칸) 중층구조로 전체적인 건축양식은 한국전통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배치와 내부구조는 서양식 바실리카 건축양식을 응용하여 조화의 아름다움과 토착정신을 드러나게 하였다. 성공회 강화성당은 1981년 경기도 지방유형문화재 111호로 처음 지정된 이래 강화군이 인천광역시로 편입되면서 인천지방유형 문화재로 변경되었다가 2001년 1월에 국가사적 424호로 변경 지정되었다.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에서 인용)
성공회 강화성당은 한옥식 건물로 지어 동, 서양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백두산 원시림 적송을 뗏목으로 강화까지 운반해 왔으며, 도목수는 경복궁 신축 도편수였다고 전해진다.
서양의 바실리카식 교회건축 공간구성을 따르고 있으나 가구 구조는 한식 목구조와 기와지붕으로 되어있다.
성공회 강화성당은 당시 강화도의 조선사람에게 익숙한 불교 사찰과 같은 분위기로 건립하였다.
천주교가 초기에 박해 받던 것을 염두에 두어서일까?
이러한 시도로 서양 종교에 대한 이질감을 상당 부분 완화시켰을 것이다.
이곳 강화에 한국 최초의 성당을 세우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강화에서 처음으로 한국인이 세례를 받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문에는 태극문양을 본뜬 큰 원을 그리고 그 안에 십자가를 그려넣었다.
외삼문격인 대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위에는 '聖公會江華聖堂'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내삼문 역시 외삼문과 마찬가지로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과 1칸이며, 안에는 종이 걸려있다.
예전에는 1914년 영국에서 들여온 종이 매달려 있었는데
1945년 일제에 의하여 징발되어 1989년 신자들이 모금해 다시 만들었다.
보통의 교회나 성당의 종은 높은 종탑에 종이 달려있으며 안쪽에서 종을 치게 되어있는데,
이 종은 밖에서 종을 치는 사찰의 전통 범종과 같이 별다를 것 없이 보인다.
다만 撞座(당좌)에 돋을새김된 십자가가 있어 범종과 구별된다.
성당의 팔작지붕을 올려다보면 '天主聖殿(천주성전)'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지붕 용마루의 양끝에 위치하는 鷲頭(취두)를 대신하여 십자가를 세웠고
龍頭(용두)를 올린 것, 건물 정면에 柱聯(주련)으로 장식하고 있는 것 등은
한옥의 전통을 최대한 수용한 사례이다.
다음은 주련에 적혀 있는 글귀이다.
無始無終先作形聲眞主宰(무시무종선작형성진주재)
처음도 끝도 없으니 형태와 소리를 먼저 지은 분이 진실한 주재자이시다.
宣仁宣義聿照拯濟大權衡(선인선의율조증제대권형)
인을 선포하고 의를 선포하니 이에 구원을 밝히시니 큰 저울이 되었다.
三位一體天主萬有之眞原(삼위일체천주만유지진원)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니 만물의 참된 근본이되신다.
神化周流츉庶物同胞之樂(신화주류유서물동포지락)
하나님의 가르침이 두루 흐르는 것은 만물과 동포의 즐거움이다.
福音宣播啓衆民永生之方(복음선파계중민생영지방)
복음을 널리 전파하여 백성을 깨닫게 하니 영생의 길을 가르치도다.
십자가와 태극 문양을 나란히 그려 놓은 단청 문양에서 전통과 조화를 이루려했던 노력이 읽혀진다.
1896년 강화도 온수리 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하다가 1906년 전염병으로 돌아가신 알마 수녀 기념비
사제관
성당의 뒤쪽에 위치한 사제관은 원래 주교관으로 1903년 班家(반가)의 형식으로 만들어진 한옥이다.
평지에 있는 주차장에서 올려다 본 성당
성당 터는 세상을 구원하는 '방주'를 상징하여 배의 형상을 따랐다고 한다.
서쪽으로 출입문을 배치하여 서구 형태를 취하면서 전체적으로는 배(船)모양을 본 떠
뱃머리인 서쪽에는 외삼문 및 내삼문과 동종을 배치하고, 중앙에는 성당을 두었다.
'서리서리 > 문학의 산실을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문학기행 6. 정족산성(삼랑성), 전등사, 정족산 사고 (0) | 2011.02.13 |
---|---|
강화도 문학기행 5. 고구려 기상의 부활을 꿈꾸며 쓴 대서사시 동명왕편 (0) | 2011.02.13 |
강화도 문학기행 3. 강화산성 - 연무당 옛터, 첨화루, 수문 (0) | 2011.02.13 |
강화도 문학기행 2. 강화산성 북문, 진송루 (0) | 2011.02.13 |
강화도 문학기행 1. 고려궁터(강화유수부 동헌, 외규장각, 종각, 이방청) (0) | 201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