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05년 9월에 북촌에 무형문화재전시교육장을 개관하여 월별로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들의 작품 기획전시회를 개최하며, 작품제작과정시연, 일반인 대상 무형문화재 교육등 상설프로그램 운영으로 서울시민들이 서울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해 상시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
|
|
![]() | |||||
활을 만드는 사람을 궁장(弓匠), 화살을 만드는 사람을 시장(矢匠)이라 하며 합하여 궁시장(弓矢匠)이라 한다. 우리나라는 선사시대에서 조선왕조 말에 이르기까지 궁시(弓矢)를 사용해 왔으며 전쟁의 중요 무기였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을 보면 부여족(夫餘族)이 궁시를 무기로 사용하였으며, 예(濊)에서도 활이 유명하였고,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에서도 활의 사용이 활발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궁시에 관한 이야기도 많다. 즉 활을 잘 만드는 명궁은 신라의 궁장(弓匠)인데, 그가 당(唐)나라에 초청되어 가서 활을 만들었으나 결코 그 비법을 알려주지 않았다는 고사가 있다. 또 활을 잘 쏘는 사람은 이성계(李成桂)로서 그를 신궁(神弓)이라 하였다고 한다. | |||||
![]() | |||||
![]() 활은 재료에 따라 흑각궁(黑角弓)과 백각궁(白角弓)으로 나누는데, 흑각궁은 장궁(長弓), 백각궁은 단궁(短弓)이라 한다. 흑각궁은 중국산 물소뿔로 만드는데 재로 구입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 또 국산 뿔로 만드는 것을 백각궁이라 하는데 강인하기는 하나 탄력이 부족하였다. 만드는 솜씨에 따라 개궁(開弓), 경궁(京弓), 영궁(嶺弓)으로 분류하는데, 이와 같은 명칭은 근래에 생긴 이름으로 보인다. 나무로 만드는 목궁(木弓)이 있는데 느티나무, 뽕나무, 버드나무를 재료로 하며, 주로 연습용으로 쓰인다. ![]() 도구는 흑각을 휘는데 쓰는 뒤집과 활을 얹을 때 쓰는 도지개와 죌 때 쓰는 조막손이와 활을 바로잡을 때 쓰는 궁창(穹窓)과 그 밖에 톱, 대패, 나무망치, 줄, 칼, 송곳, 나무집게, 나무빗, 쇠빗, 풀솔, 도가니, 못탕 등이다. 활은 건조시키는데 15일, 선궁(鮮弓)이라고 하여 활의 강약을 조절하고 아름답게 꾸미는데 15일 정도 있어야 한다.
| |||||
![]() | |||||
출처 : www.seoulmaster.com |
![]() |
출처 : www.seoulmaster.com
'서리서리 > 서울역사문학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촌 기행 3-5 원서공원에서 바라 본 창덕궁 (0) | 2011.02.27 |
---|---|
북촌 기행 3-4 공간 사옥과 김수근 (0) | 2011.02.27 |
북촌 기행 3-2 갤러리 담, 아름지기 (0) | 2011.02.27 |
북촌 기행 3-1 선학원, 명문당 (0) | 2011.02.27 |
북촌 기행 2-4 중앙고등학교 인문학박물관 (0) | 201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