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 14년(1519)에 이명이 지은 가옥으로 고성 이씨 종택이다.
상해임시정부 초대 국무령(國務嶺)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생가이기도 하다.
'임청각'이라는 당호는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따온 것으로 '동쪽 언덕에 올라 길게 휘파람 불고, 맑은 시냇가에서 시를 짓기도 하노라.'라는 구절에서 '臨'과 '淸' 자를 취했다. 임청각의 현판은 퇴계 이황의 친필이라고 한다.
임청각은 낙동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의 명당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 이 집은 원래 99칸의 기와집이었다. 중앙선 철도 건설 당시 50여 칸의 행랑채와 부속채가 철거되어 현재의 규모로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양반 가옥의 품격을 지니고 있다.
임청각은 살림채, 사당, 별당(군자정)으로 구분되고 살림채는 안채, 중채, 사랑채, 행랑채로 나뉘어진다.
별당인 군자정은 조선 중기에 지어진 '丁'자 평면의 누각으로 중심은 남향의 대청이고 서쪽에 온돌방을 배치했다. 우리가 방문했을 때 군자정에서 문중 회의를 마치고 계단을 내려오는 문중 노인들께 양해를 구해 군자정 내부에 들어갈 기회를 얻었다. 넓은 대청 들보에는 돌아가며 이상룡의 초상을 비롯해 문중의 인물들의 계보와 훈장이 걸려 있고, 이상룡이 만주로 떠나기 전에 지은 한시 '去國吟'와 김종서의 한시가 걸려있어 집안의 내력을 짐작하게 했다.
군자정 옆 언덕에는 사당이 있다. 사당에는 불천위와 더불어 4대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나 석주 이상룡 선생이 독립운동을 하기 위해 만주로 떠날 때 위패를 모두 藏主하여 현재 봉안된 신위가 없다고 한다.
이상룡을 비롯한 아들 손자 3대의 독립투쟁 기간을 합하면 375년이며, 긴 세월의 옥고에 단 한 명의 변절자도 없었다고 한다.
행랑채
행랑채
안채, 오른쪽 방은 태실
두 번째 안채
세 번째 안채
군자정
사당
'알뜰살뜰 > 문화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6. 이천동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 보물 제115호) (0) | 2015.09.19 |
---|---|
안동 5. 안동민속박물관 (0) | 2015.09.19 |
안동 3. 법흥사지 칠층 전탑 (국보 제16호) (0) | 2015.09.19 |
안동 2. 의성김씨 종택 (보물 제450호) (0) | 2015.09.19 |
안동 1. 경상북도 독립운동기념관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