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석강은 선켐브리아대 시기의 화강암, 편마암이 기저층으로 쌓여있다.
중생대의 백악기(7,000만년전)에 퇴적한 퇴적암의 성층으로 바닷물의 침식에 의해 마치 수백 권의 책을 쌓아 올린 듯한 모습이다.
당나라 때 시인 이백(태백)이 경관이 뛰어나 놀았다는 중국 지명인 ‘채석강’과 흡사하다 하여 지명을 그대로 따 왔다고 한다.
억만년 세월 동안 파도에 씻기면서 묵묵히 버틴 바위가 깎이고 씻겨 절벽을 이루었으며, 이 절벽은 다시 씻기어 동굴을 이루었다.
자연의 신비와 비밀을 간직한 채석강은 경이로운 조화와 신비의 표상이다.
김경식 11.02.28. 08:58
┗
자하 11.02.28. 21:03

오후부터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 때문에 채석강에 들를 때 날이 궂으면 어쩌나 염려했습니다.
특히 바다는 햇빛의 양에 따라 느낌이 완연히 달라지니까요.
날씨가 좋아 변산반도의 진면목을 충분히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mhpark 11.02.28. 12:38
특히 바다는 햇빛의 양에 따라 느낌이 완연히 달라지니까요.
날씨가 좋아 변산반도의 진면목을 충분히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풍부한 지식으로 해설하시는 자하님의 정성이 사진을 더욱 더 돋보이게 합니다. 잘 감상했습니다
'서리서리 > 문학의 산실을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기행 2. 상림 (0) | 2011.08.11 |
---|---|
함양 기행 1. 학사루, 김종직 느티나무 (0) | 2011.08.11 |
부안 기행 3. 찾아오는 이를 소생케 하리. '내소사' (0) | 2011.03.13 |
부안 기행 2. 이화우 흩날리던 '매창뜸' (0) | 2011.03.13 |
부안 기행 1. 신석정 시인의 고택 '청구원' (0) | 2011.03.13 |
그러나 봄바다와 채석강은 기행하기에 적당했습니다.
사진 감상 잘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