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는 운조루(雲鳥樓)라는 고택이 있다.
운조루는 조선 영조 때인 1776년에삼수부사를 지낸 류이주 (柳爾胄1726∼1797 )가 지은 집으로,
지리산 노고단 남쪽 능선이 내려온 길지에 자리잡았다. 우리나라 3대 길지라고 한다.
운조루의 건축 배치형식은 품자형 (品字形)으로 99칸(현존73칸)의 전형적인 양반 가옥이다.
‘구름속의 새가 숨어사는 집’이란 뜻을 가진 운조루의 택호는 도연명의 '귀거래사'에 나오는 칠언율시에서 따왔다.
구름은 산골짜기로 무심하게 피어오르고(雲無心以出岫)
날기에 지친 새들이 집으로 돌아오네(鳥倦飛而知還)
이 집에 살던 이들의 학문의 조예와 문학적인 심미안을 짐작하게 하는 이름이다..
운조루(雲鳥樓) 솟을 대문
운조루(雲鳥樓) 안채
'雲鳥樓'는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안채는 한옥으로는 생소하게 2층 형태이다.
입향조 류이주가 수원 화성과 남한산성 축조에 참여한 인물이니 건축에 대한 감각이 남다르다.
무엇에 쓰던 물건인고?
운조루(雲鳥樓) 안채 댓돌 앞의 특이한 돌 구조물
운조루(雲鳥樓) 안채 마당
안채와 부엌이 잇닿은 마당에 확독과 맷돌이 놓여 있다.
운조루(雲鳥樓) 안채 마당의 장독대
안채 앞마당의 장독대는 옛날의 영화를 말해주듯 넉넉한 크기의 항아리들이 윤이 나게 자태를 뽐낸다.
장독대 뒤로는 곳간이 있어 안주인이 장독대와 곳간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타인능해(他人能解)' 글씨가 쓰인 나무 뒤주
타인능해(他人能解) - 나눔의 철학
운조루 한 쪽 헛간에는 통나무 속을 파내 만든 뒤주가 있다.
그 뒤주 아랫부분에는 '他人能解'라는 글씨가 있다.
'다른 사람도 능히 열 수 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이웃을 향한 나눔의 철학이 녹아 있는 귀한 물건이다.
연평균 200가마를 수확하는 중농 정도의 살림에 해마다 36가마를 이 뒤주를 통해 빈민구휼 용도로 제공했다.
더구나 가져가는 이가 보이지 않는 뒷채에 뒤주를 배치해 자존심을 상하지 않게 배려했다.
밥을 굶고 있는 사람들은 이 집에 와서 쌀을 가져 갈 수 있었으니 그 소문은 전 고을에 퍼졌다.
가난한 이웃을 생각하는 마음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밥 짓는 연기가 높이 솟아오르면 위화감이 조성될까 하여 굴뚝을 낮게 설치했다.
류씨 가문이 번창한 이유는 도리와 분수를 지키고 이웃을 사랑하고 물질을 나누었기 때문이다.
예전에 달나라에는 토끼가 떡방아를 찧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떡방아를 찧을 수 있는 달나라는 배고픈 사람들에게는 옥황상제가 사는 낙원이었다.
그러니 '배 고픈 사람은 누구도 퍼 가도 된다'는 이 뒤주의 주인에게 얼마나 고마워했을까?
이 댁은 25가구나 되는 노비를 자진하여 방면했다고 한다.
하여 근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온전히 견뎌낼 수 있었다.
일행이 운조루 안주인에게서 녹차 종자를 사고 있다.
책방 앞뜰
후원
큰사랑 누마루 밑에는 소 두 마리가 끌었다는 커다란 수레바퀴가 있다.
운조루의 사랑채는 큰사랑과 작은 사랑이 기역자 모양을 하고 있다.
특이한 것은 오른쪽 작은 사랑에서 안채로 통하는 길이 계단 대신 경사지게 만든 점이다.
언젠가 tv다큐에서 설명을 들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운조루 솟을대문 앞에 연지가 있다.
안산인 오봉산의 화기를 잠재우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한다.
네모난 연못 안에 둥근 석가산을 만들었다.
운조루 도해. '금환락지'의 명당이라고 한다.
(2010. 05. 08. 紫霞)
'서리서리 > 문학의 산실을 찾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 데 하늘이 알알이 들어와 박혀 - 안동기행 2. 저항시인 이육사 (0) | 2010.12.12 |
---|---|
고인을 못 뵈도 녀던 길 앞에 있네 - 안동 기행 1. 퇴계종택과 묘소 (0) | 2010.12.12 |
문학기행 - 매천 황현과 구례 2. 호양학교 (0) | 2010.07.04 |
문학기행 - 매천 황현과 구례 1. 매천사와 매천 고택 (0) | 2010.07.04 |
[스크랩] 매천 황현과 구례(하) (0) | 201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