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기행 - 매천 황현과 구례 3. 운조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는 운조루(雲鳥樓)라는 고택이 있다. 운조루는 조선 영조 때인 1776년에삼수부사를 지낸 류이주 (柳爾胄1726∼1797 )가 지은 집으로, 지리산 노고단 남쪽 능선이 내려온 길지에 자리잡았다. 우리나라 3대 길지라고 한다. 운조루의 건축 배치형식은 품자형 (品字形)으로.. 서리서리/문학의 산실을 찾아 2010.07.04
문학기행 - 매천 황현과 구례 2. 호양학교 매천은 54세(1908년)되던 해에 구례군 광의면 지천리에 주민들과 함께 호양학교를 설립한다. 이 학교는 애국정신과 신식학문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이 학교를 그냥 두지 않고 일제초기에 폐교시킨다. 그 설립 취지만은 광의보통학교와 방광학교로 그 정신은 이어졌다. 방광학교도 1.. 서리서리/문학의 산실을 찾아 2010.07.04
문학기행 - 매천 황현과 구례 1. 매천사와 매천 고택 2010년 5월 문학기행은 구례를 찾았다. 100년 전 경술국치(1910년)를 당했을 때, 절명시(絶命詩) 4수를 남기고 자결한 매천(梅泉) 황현(黃玹, 1855~1910) 선생의 삶을 돌아보는 여정이다. 구례에 도착하여 처음 밟은 곳은 매천 황현 선생의 사당 매천사(梅泉祠)이다. 입구에 세워진 안내 표지판을 .. 서리서리/문학의 산실을 찾아 2010.07.04
[스크랩] 매천 황현과 구례(하) 매천 황현과 구례 (하) 사진/ 글 김경식 4) 매천 황현의 삶과 죽음 매천 황현은 황희 정승의 후손이다. 그의 10대조는 황진(1550~1593)이다. 황진은 동복(화순)현감을 역임하였으며, 충청병사를 지낸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임진왜란 때 진주성 싸움에서 장렬하게 전사한다. 사람은 누군가에 의해 영향을 받.. 서리서리/문학의 산실을 찾아 2010.07.04
[스크랩] 매천 황현과 구례(상) 매천 황현과 구례(상) 사진/ 글 김경식 봄꽃이 피는 계절이다. 가는 곳마다 지천으로 꽃이 피었다. 새순과 잎이 돋아나는 나무들은 하루가 다르게 주변 풍경을 새롭게 만든다. 겨울 같은 봄이라고들 하지만 어김없이 봄은 우리 곁에 와 있다. 사계절의 순환은 우리에게는 큰 축복이다. 이런 시기에 여행.. 서리서리/문학의 산실을 찾아 2010.07.04
사랑하는 이의 머리칼 사랑하는 이의 머리칼 -박 재 삼- 울창한 가운데 그늘을 드리운 한 여름의 숲에서 우리는 우리의 때가 묻은 피로를 벗어 던지고 풀밭에 누워 시원한 공기를 마시자. 복된 일은 너무나 간단한가. 우리는 어느새 맑은 하늘의 복판 홀가분한 구름이 되리라. 사랑하는 이여, 그대 머리칼은 나의 숲! 치렁치렁.. 서리서리/좋아하는 글, 생각나는 글 2010.07.04
길 위의 인문학 '화천'편 - 3부 평화의 물결, 시 노래로 출렁이다 - 길 위의 인문학 '화천'편 3부 : 평화의 댐(물 문화관, 평화의 종, 비목공원)에서 꺼먹다리까지 평화의댐 옆에 있는 물 문화관에서 다시 인문학 특강이 이어진다. 유종인 시인이 자작시 '종(鐘) - DMZ를 위하여'를 낭송 가곡 '비목(碑木)'의 작사자인 한명희 .. 서리서리/멋지게 살지게 2010.06.27
길 위의 인문학 '화천'편 - 2부 평화의 물결, 시 노래로 출렁이다 - 길 위의 인문학 '화천'편 2부 : 파로호, 구만리에서 평화의 댐까지 파로호(破虜湖) 1944년 화천댐 건설로 생긴 호수 원래 이름은 '대붕호' 하루에 구만 리 장천을 나는 전설상의 새 '대붕(大鵬)'을 닮아서 그렇게 불리웠다. 그러다가 한국전쟁 당시 이 곳에.. 서리서리/멋지게 살지게 2010.06.27
길 위의 인문학 '화천'편 - 1부 '길 위의 인문학' 화천 탐방 개요 주제 일시 평화의 물결, 시 노래로 출렁이다 2010년 6월 탐방코스 파로호 → 평화의 댐(비목공원, 평화의 종 공원) → 안동철교 → 꺼먹다리 → 산소길 → 칠성전망대 → 인민군 사령부 막사 행사내용 * 한국시인협회 소속 시인(5명)이 분단의 아픔을 문학으.. 서리서리/멋지게 살지게 2010.06.27
가족으로, 인문학의 울림으로 [길 위의 인문학] 1부 인문학의 길 걷기 ㅇ 탐방 주제 : ‘도심 속에 인문학의 길을 닦다.’ ㅇ 탐방 일정 : 2010. 5. 29 ㅇ 탐방 코스 : 청권사 → 몽마르뜨공원 → 누에다리 → 국립중앙도서관 ㅇ 초빙 인사 - 신병주 건국대 교수 (조선 초기 역사 연구, ‘조선 최고의 명저’ 등 저서 다수) 2부 .. 서리서리/멋지게 살지게 2010.06.27